항주/황산/삼청산(산아래숙박) 4박5일
 

12322_cf_407_chn_beijing.gif 

● 일반사항
 ○ 건국일 : 1949. 10. 1(국경일)
 ○ 인구 : 약 13억 3,972만명
 ○ 민족 : 한족 및 55개 소수민족 - 조선족 약 200만명(전체인구의 0.15%, 소수민족의 2%)
 ○ 국명 :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 국기 : 오성홍기(붉은 바탕에 왼쪽 윗부분에 황색으로된 큰 별 하나를 4개의 작은 별이 둘러 싸고 있는 도안) 큰 별은 중국 공산당을 , 4개의 작은 별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당시의 4개의 인민계급(노동자,농민, 도시소자산,민족자산 계급)을 상징함.
 ○ 수도 : 북경(北京, 베이징)
 ○ 면적 : 960만㎢ (한반도의 44배, 세계 3위,남한면적의 약100배) 
 ○ 표준어 : 보통화(북경어에 기초)
 ○ 공휴일: 元旦(위엔단/신정 설 : 1.1), 春節(춘지에/음력 1.1), 국제 부녀절(3.8), 노동절(5.1), 청년의 날(5.4), 국제 어린이날(6.1), 중국 공산당 창당일(7,1), 중국 인민 해방군 건군일(8.1), 국경절(10.1)

● 정치
 ○ 정체 : 노농연맹에 기초한 인민민주주의 사회주의 국가
 ○ 행정구역 : 22개성, 4개직할시, 5개자치구, 2개특별행정구(아래 자세히 표로 구분)
 ○ 유엔가입 : 71년 10월(안보리 상임이사국)
 

*정부 형태: 공산당 일당 독재(형식상 8개 정당존재)
*의회: 단원제(전국인민대표대회)
*주요 지도자: 국가 주석겸 당 총서기,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胡錦濤 (후진타오, Hu Jintao)

국무원 총리-溫家寶 (원쟈바오, Wen Jiabao)

○ 행정구역: 4개 직할시,22개 성,5개 자치구,2개 특별자치구(중국 정부는 대만을 23번째 성으로 간주함)

4개 직할시 북경 천진 상해 중경
5개 자치구 내몽고 신강위구르 서장 광서장족 영하회족 자치구
2개 특별자치구 홍콩 마카오
22개 성 화북구 - 하북성 산서성
서북구 - 섬서성 감숙성 청해성
화동구 - 강소성 절강성 안휘성 강서성 복건성 산동성









 












환  율

1위안(CNY) = 180.50원
1달러(USD) = 6.39위안(CNY) 


 
 

중국의 화폐

화폐_100위안.jpg100위안
화폐_50위안.jpg50위안
화폐_20위안.jpg20위안
화폐_10위안.jpg10위안
화폐_5위안.jpg5위안
화폐_1자오.jpg1자오(마오)
화폐_1위안.jpg1위안
화폐_동전들(1위안,5자오,1자오).jpg동전들(1위안, 5자오, 1자오)



플러그와 콘센트

플러그모양.jpg 콘센트모양.jpg
아래쪽 세개의 구멍이 있는 부분은 전류소모가 많은 기기를 사용할 때 필요로 한것이다.
위의 부분의 모양을 보면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110V의 콘센트와 220V의 콘센트 구멍을 합쳐놓은 모양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플러그를 사용하는데 무리가 없겠다.

 
 

시차
한국보다 1시간늦은 시차이다.

언어
일반적으로 한어(漢語)로 불리는 중국어를 사용하며, 표준어를 보통화(普通話)라고 한다.
중국은 지역에 따라 방언이 심해 중국인 사이에서도 의사소통이 안되는 경우가 있었는데, 정부에서 보통화사용운동을 실행해 사용이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통화

인민폐(RMB) 단위는 원(元, 위엔=塊), 각(角, 지아오=毛), 분(分, 펀)이다.
1元=10角=100分 1元 이하 단위는 동전과 지폐가 함께 사용되는데, 특히 남방 지역으로 갈수록 동전이 많이 유통되고 있다.
그리고 갈수록 分 단위의 사용이 사라지고 있다. 그 외의 지폐는 5원, 10원, 50원, 100원짜리로 구분되며, 규모가 있는 상점에는 위조지폐 구별을 위한 기계가 있어서 100원짜리 지폐를 제시할 경우 기계에 대고 판별을 하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전압

중국내 전압은 일반적으로 220V이며 여행객이 많이 이용하는 호텔등에선 콘센트도 한국과 동일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혹시 우리 나라의 전기제품들과 맞지 않는 경우엔 호텔 카운터에서 어댑터를 빌려 사용하거나 여행시 건전지를 이용하는 제품을 휴대하면 된다.

전압

사용전압

주파수

컬러방식

220V

50Hz

PAL







전화를 할 때
중국의 국제전화는 한국에 비해 비싸다. 따라서 현지 직통전화보다는 국제전화카드를 이용하거나 수신자부담 서비스(Collect Call)를 이용하는 것이 더 저렴하다.

◎ 한국에서 중국으로 직통전화

- 중국 집전화번호로 걸 때:
001(또는 002, 00700 등) + 86(중국 국가번호) + 지역번호(맨 앞자리에 0이 들어가면 맨 앞자리의 0은 빼고) + 전화번호

- 중국 핸드폰번호로 걸 때:
001(또는 002, 00700 등) + 86(중국 국가번호) + 핸드폰번호(맨 앞자리에 0이 들어가면 맨 앞자리의 0은 빼고)

※ 중국 도시 지역번호 : 북경-1/상해-21/장춘-431/남경-25/곤명-871/무한-27

◎ 중국에서 한국으로 직통전화

- 한국 집전화번호로 걸 때:
00 + 82(한국 국가번호) + 지역번호(맨 앞자리에 0이 들어가면 맨 앞자리의 0은 빼고) + 전화번호

- 한국 핸드폰번호로 걸 때:
00 + 82(한국 국가번호) + 핸드폰번호(맨 앞자리에 0이 들어가면 맨 앞자리의 0은 빼고)

◎ 한국으로의 수신자부담 이용전화

북방지역 108-8825 + 1111 + # 를 누르면 한국교환원 연결
남방지역 10-800-1-400-688 + 1111 + # 를 누르면 한국교환원 연결
* 상해를 기준으로 북방/남방으로 나누어 진다.

◎ 로밍서비스
로밍 서비스는 자동로밍과 임대로밍으로 나눠지는데, 자동로밍은 현재 한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의 설정만 바꿔서 사용하는 것이고 임대로밍은 공항 로밍서비스센터 등에서 로밍전용폰을 임대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자동로밍의 경우 본인의 휴대폰에서 '휴대폰 관리'나 '제어판'에서 로밍 시스템을 선택하면 서비스 가능 국가에서는 바로 통화가 가능하다. 임대료를 따로 지불할 필요없이 통신사마다 달리 지정된 통화료만 내면 되는데, 이때는 한국에서와는 달리 전화를 받을 때도 요금을 내야한다. 요금이 꽤 비싼 편이므로 요금표를 꼭 확인한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휴대폰이 로밍서비스가 되지 않을 때는 공항에서 해당 통신사의 로밍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여 문의하면 된다.


중국 주요전화번호
범죄자신고 110
전화번호안내 114
화재신고 119
긴급구조신고 120
날씨예보 121
교통사고신고 122
우편번호안내 184


한국인 주요 기관 연락처
*주중(駐中) 한국대사관
주소 : No.3, 4th Avenue East San Li Tun, Chaoyang District, Beijing 100600
이지 : http://www.koreanembassy.cn

*주북경 총영사관 : (86-10) 6532-6774,6775
*주상하이 총영사관 : (86-021) 6295-5000, 6295-2639
*재중국 한인회 : (86-10) 8454-5770
*KOTRA : (86-10) 6505-2324


중국 국가기관 연락처
북경시 공안국 : 6522-5050 http://www.mps.gov.cn

- 북경시공안국 외국인 관리처 : 6404-7799
- 북경시 공안국 출입국 관리소 : (010)8401-5295

대한항공 중국지점
* 예약(전지역 동일):40065-88888 (중국지역) / +86-40065-88888 (해외)
0532-8378-7024(로밍폰 사용시)

북경 (86-10)6505-0089
천진 (86-22)2319-0088
하얼빈 (86-451)230-9025
상해 (86-21)6275-6000
청도 (86-532)387-0088
심양 (86-24)2287-0088
삼아 (86-899)828-9184/5

아시아나 중국지점
* 예약(전지역 동일): 4006-50-6000

북경 (86-10)6468-4000
상해 (86-21)6219-4000
장춘 (86-431)894-8948
광주 (86-20)8760-9037
하얼빈 (86-451)234-4000
연대 (86-535)662-8000
계림 (86-773)285-8985
서안 (86-29)870-3405
중경 (86-23)6383-3908

인터넷
중국에는 현재 대도시를 중심으로 수많은 PC방이 운영되고 있다. 대부분의 PC방이 20-30대의 컴퓨터가 설치된 소규모 수준으로 가격은 시간당 3위안에서 비싼 곳은 6위안까지 한다. 가격은 지역별로 차이가 나며 속도도 요즘들어 인터넷 전용선이 대도시를 시작으로 보급단계에 있기 때문에 그리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북경이나 상해 등의 대도시에서도 한국 유학생이나 주재원 들의 밀집 지역에 자리하고 있는 PC방에서는 한글 지원이 되는 PC를 몇 대씩 보유하고 있다.

중국의 공휴일
1. 양력 1월 1일: 元旦 (위엔단/신정)
2. 음력 1월 1일: 春節 (춘지에/구정)
3. 양력 5월 1일: 劳动节 (라오동지에/국제 노동절)
4. 양력 10월 1일 : 国庆节(궈칭지에/ 국경절-중화인민공화국 건립기념일)

구정과 노동절, 국경절의 법정휴일은 3일씩이지만 주말에 근무를 하고 휴일을 대체하기 때문에 보통 연이어 7일에서 10일 정도씩 쉰다. 이때는 중국 내 관광도 최대 성수기를 맞기 때문에 이 시기에 여행을 계획할 경우 관광지마다 몰리는 인파를 대비해야 한다.

- 양력 3월 8일: 妇女节(푸뉘지에/국제 부녀절) ※ 여성만 반나절 휴일
- 양력 5월 4일: 青年节 (칭녠지에/청년의 날) ※ 14세 이상 청년만 휴일
- 양력 6월 1일: 儿童节 (얼통지에/국제 어린이날) ※ 13세 이하 어린이만 휴일
- 양력 7월 1일 : 建党日 (지엔당르/중국 공산당 창당일)
- 양력 8월 1일 : 建军日 (지엔쥔르/중국 인민 해방군 건군일)

※ 공휴일로 지정되지 않은 민속 명절
- 음력 1월 15일 : 元宵节(위엔시아요지에/원소절)
- 음력 8월 15일 : 中秋节(중치우지에/ 추석)

중국의 음식문화
지대물박(地大物博)이란 말처럼 중국은 땅이 크고 자원이 많다. 그래서 중국을 두고 사람들은 '없는 것만 빼고는 다 있다'라는 표현을 하기도 한다. 이런 중국에서 음식의 재료와 내용, 모양과 맛도 천차만별이다.

일반적으로 중국요리에 대해서 '동쪽은 시고, 서쪽은 맵고, 남쪽은 달고, 북쪽은 짜다'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중국을 대표하는 요리는 크게 산동요리, 사천요리, 절강요리, 광동요리의 4가지로 분리되며 '사대중국요리'로 불린다. 이 유명한 요리는 각 지방의 오랜 역사와 독특한 조리특색이 자연지리, 기후조건, 특산물, 음식습관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형성되어 왔다. 이에 따라 각각의 요리는 독특한 특색을 지니고 있는데, 절강요리는 수려한 강남의 미녀와 같고, 산동요리는 요리는 소박하고 건강한 북방의 남자와 같으며, 광동요리는 풍류스럽고 우아한 도련님 같고, 또한 사천요리는 내실이 풍부하고 재주가 많은 명인과도 같다.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첫째, 산동요리는 황하유역과 북경, 천진, 하남 일대의 요리로 해산물을 위주로 한 연해지방의 초동요리와 탕류 위주의 내륙요리인 제남요리로 나뉜다. 산동요리의 특징은 선명한 색깔과 담백한 맛이며, 가장 대표적인 요리로는 황하의 잉어로 요리한 '탕수황하잉어'가 있다.
, 남경의 '남경소금오리구이'등이 있다.

셋째, 사천요리의 계통은 장강 상류 사천성 일대를 지칭하며 중국음식 중에서 가장 독특한 요리라 할 수 있다. 형언할 수 없을 정도로 맵고, 시고, 얼얼하며 쓰고, 맵고, 향기롭고, 짠 등의 일곱가지 맛을 다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마파두부', '원앙신선로', '훠궈로', '공즈지딩', '탄탄미엔' 등이 있다.

마지막 광동요리. 책상만 빼놓고 다리 달린 것들은 뭐든 먹는다는 말이 바로 이 광동요리에서 나온 것이다. 주강 유역의 강서성 일대의 음식을 말하는 광동요리는 담백하고 단 맛을 자랑한다. 앞서 말했듯이 쥐, 고양이, 코끼리, 개, 뱀 등 요리의 재료가 풍부하며 대표적인 음식으로 '탕수구라오로', '마늘쫑 민물생선요리', '새끼돼지바베큐요리' 등이 있다. 또한 차를 마시면서 간식을 먹는 얌차라는 음식문화가 있어 대부분 이지역의 사람들은 얌차를 먹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한다.

앞서 서술한 4대 요리 외에도 중국의 각 도시에는 그 도시를 대표하는 음식이 있다. 예를 들어 북경의 '오리구이', 천진의 '구부리만두', '18가 꽈배기', 상해의 '소쿠리만두', '술취한 게', 서안의 '말린 말고기', 양고기 '파오모', 신장의 '양꼬치구이', '양피' 등이 가장 대표적이다.

 
 

1. 검역하기
목적지 도착 후 가장 먼저 거치는 것.
입국심사시에 행해지는데, 최근에 전염병이 발생한 지역을 여행한 경우가 아니라면 특별한 예방접종같은것은 필요없지만, 2003년 사스 바이러스 발생이후 건강신고서를 미리 작성하여 입국심사 전 제출하여야 한다.

2. 입국심사
검역이 끝나면 여러 개의 입국심사대중에서 외국인(外國人)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입국심사대로 간 다음 유효한 여권과 비자 그리고 입국카드(단체비자는 입국카드 필요없음)만 제출하면 간단히 끝난다.
단체일 경우는 단체비자를 받았기 때문에 단체비자에 적혀있는 번호 순으로 줄을 서서 심사 받아야 한다.
출입국카드는 기내에서 미리 작성해 둔다.

3. 짐 찾기
입국심사가 끝나면 짐 찾는 곳으로 가서, 자신의 짐을 찾는다. 턴테이블에 따로 도착항공기를 표시하지 않는 부분도 있으므로 짐을 찾기 힘든 경우가 많으므로 직원에게 안내를 받으면 도움이 된다.

4. 세관 물품신고서 제출
2005년 7월 1일부로 중국의 모든 공항,항구로 출,입국하는 사람은 중국 출/입국 세관 물품신고서를 작성하여 중국 세관에 제출해야 한다.

신고할 품목이 있는 관광객의 경우 입,출국용 세관 물품시고서와 별도의 추가서류를 작성한 후 세관직원에 제출하고 제출한 별도의 추가서류를 돌려받아 관광을 마치고 출국할 때까지 보관하면 된다.

세관 통과시 술1병, 담배10갑, 향수2온스까지는 신고 없이 반입이 가능하다.
입국시 신고한 물건은 중국 내에서 팔거나 선물해서는 안된다.
신고한 물건 중 사라지게 된경우 관게를 물어야 하니 주의해야 한다.



검사가 끝나고 난 뒤 세관직원에게 사인을 한 후 여권과 함께 돌려주게 되면 입국심사가 끝나게 되는 것이다.

 
 

입국신고서

입국신고서.jpg


출국카드(중국에서 나올시)
출국카드.jpg

검역신고서
검역신고서.jpg

① 성 / ② 이름 / ③ 생년월일 / ④ 성별 / ⑤ 여권번호 / ⑥ 국적 / ⑦ 비자번호
⑧ 입국목적 / ⑨ 비자받은 곳 / ⑩ 타가온 비행기편명 / ⑪ 출발지
⑫ 중국에서의 체류지 / ⑬ 서명 / ⑭ 입국날짜(도착날짜)


중국에 입국할 때 검역이 끝나면 외국인(外國人)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입국심사대로 간다.
여권과 비자, 그리고 입국카드(단체비자는 입국카드 필요없음)만 제출하면 간단히 끝난다.
단체비자의 경우 비자원본(한 단체에 2장)에 이름이 적혀있는 번호순으로 심사를 받아야 한다.
단체비자 1번에 이름이 올라 있는 사람은 심사 받을 때 단체비자 원본 2장을 함께 제출하면 되고 단체비자의 맨 끝번호 사람은 맨 마지막으로 심사받으면서 비자 1장만 다시 받아서 보관하다 출국할 때 다시 1번에 이름이 올라온 사람이 출국심사대에 제출하면 된다.

 
 


공항으로는 출발 2시간 전에 도착하는 것이 안전하다.

공항에 도착하면 먼저 해당 항공사 카운터에서 항공권을 탑승권으로 바꾼 후 공항세를 구매한다. 단, 항공권에 이용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잘 알아보고 이용한다.

출국신고 카운터 직원이 여권에 출국 스탬프를 찍고, 출국신고서를 회수한 후 탑승권 확인으로 출국수속이 완료된다.

만약, 부칠 짐이 있을 때는 탑승권을 받을때 항공사 체크인 카운터에 맡기고 꼬리표를 받는다. 탑승수속과 출국신고가 끝나면 탑승권에 적혀 있는 시간과 게이트를 확인한 후, 남은 시간은 면세점 등에서 쇼핑하거나 간단한 식사를 면서 보낸다. 탑승은 출발 20~30분 전에 시작되므로, 그 시간까지는 게이트 앞에 도착한다.

------------------------------------------------------------------------------------------------------
1. 이용하는 항공사의 카운터에서 여권과 항공권을 제시하고 탑승권을 발부받고, 탁송화물이 있으면 부친다. 카운터에서 출국카드를 받아 기입한다.

2. 보안검사 : 여권과 탑승권을 내보이고, 여행짐은 X-RAY 검사대를 통과시킨 후 휴대물품이나 몸에 지니고 있는 물품을 간단히 조사받는다.

3. 출국심사 : 여권, 탑승권, 출국카드를 제시한다.

4. 탑승권상의 탑승구에서 탑승대기를 한다.

 
 

입국신고서.jpg



1. 성, 이름 / 2. 생년월일 / 3. 성별 / 4. 여권번호 / 5. 국적 /
6. 여행목적
 - Official 공식업무, Business 업무 / Leisure 여행 / Study 유학 / Immigration 이민 / Visiting Friends or Relatives 친지방문 / Return Residents 귀가 / Others 기타
7. 항공편 / 8. 만 16세 이하의 동반여행자 수
9. 거주 여행자가 해외에서 반입할 시 5천위엔 초과물품
10. 비거주 여행사가 해외에서 반입할 시 5천위엔 초과물품
11. 알코올음료(도수 12도 이상) 1,500ml, 담배 400대, 시가 100대, 씹는 담배 500g 초과
12. 2만위엔이나 5천달러 이상의 외화 현찰 휴대여부
13. 동식물 및 그 제품, 미생물, 생물제품, 인체조직, 혈액 및 그 제품 휴대여부
14. 무선 송, 수신기, 통신보안기기 휴대여부
15. 중국세관이 규정한 입국제한 또는 금지물품 휴대여부
16. 별도로 반입하는 물품
17. 화물, 샘플, 광고물 휴대중

단체비자 여행객을 제외하고, 중국의 모든 공항,항구로 출,입국하는 사람은 모두 '중국 출/입국 세관 물품신고서'를 작성하여 중국 세관에 제출해야 한다.

신고할 품목이 있는 관광객의 경우 입,출국용 세관 물품시고서와 별도의 추가서류(항공기 내에 비치되어 있음.)를 작성한 후 세관직원에 제출하고 제출한 별도의 추가서류를 돌려받아 관광을 마치고 출국할 때까지 보관하면 된다. 기재하는 모든 인적사항은 여권에 있는 내용을 기준으로 작성하면 된다. (여권번호, 생년월일 등)

 
 

중국 내부에서 이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

장거리버스
시내에서 교외로, 다시 먼 다른 지역으로의 버스 노선이 그물망처럼 전 영토를 덮고 있다. 버스의 지붕에 짐을 상상 외로 높이 올려 놓고, 딱딱한 좌석에 앉아 흔들거리며, 먼지 나는 비포장 도로를 달리게 된다. 이런것도 중국여행의 추억거리가 될 수도 있다. 주의할 점은 장거리 버스를 이용하면 어디든지 갈 수는 있지만, 외국인 여행자가 자유롭게 갈 수 있는 개방도시(약 100여개) 이외에 여행증이 필요한 도시와 출입을 금지하는 도시도 있으므로, 숙박과 식사 이외에 개방도시인가 아닌가의 확인과 치안등에 대한 충분한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

시내버스

중국에서 가장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은 아마도 대중버스가 아닐까싶다. 종류로는 우리와 같은 모양의 버스와 차량 두 대를 연결시킨 주름버스, 이층버스, 전선줄로 운행되는 트롤리버스가 있다.

버스요금은 구간마다 차이가 있으나 기본요금은 1元부터 있으며, 요금은 승차시 안내원에게 목적지를 말하고 지불하면 된다. 중국의 버스는 ××번이 아닌 ××루(路)로 표시되며, 모든 정류장마다 표지판에 현 위치의 정류장 명칭은 물론 노선별 목적지까지 상세히 쓰여 있어 이용하는데 큰 불편이 없다. 이외에 약 15-20명이 탈 수 있는 미니버스(小公共汽車)가 중국의 곳곳에 많이 운행되는데, 요금은 일반버스에 비해 다소 비싼 편이지만 앉아서 갈 수 있으며 근교의 관광명소를 중심으로 운행되기도 하므로 시내관광시 이용하면 편리하다.

항공
중국은 그 영토가 큰만큼 국내선 노선망이 100여개 이상이 될 정도로 상당히 발달되어 있다. 그러나 주요도시를 제외하고는 전산화가 잘 이루어져 있지 않아 비행기표 예약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한국에서 출발 전에 예약을 하고 온 경우에도 반드시 재확인을 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비행기표는 각 도시의 중국민항(CA) 사무실이나 중국 국제여행사,호텔 내의 여행사 등지에서 구매할 수 있다. 중국의 국내선에서는 차나 쥬스, 빵 등 간단한 기내 서비스만 제공되며, 화장실은 사용 유무에 따라 유인(有人) 혹은 무인(無人)의 표시가 나타나며 비상구는 '太平門'등으로 표기되어 있다.

기차
땅이 넓은만큼 기차의 가격과 소요시간은 종류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우선 속도에 따라 분류를 해보자면, 특쾌(特快 : 터콰이), 직쾌(直快 : 즈콰이), 쾌객(快客 : 콰이커)로 나눌 수 있는데, 특쾌가 제일 빠르고, 직쾌, 쾌객 순이다.

또한 좌석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 연와(軟臥 : 루안워), 경와(硬臥 : 잉워), 연좌(軟座 : 루안쭈오), 경좌(硬座 : 잉쭈오)로 구분된다. 한문에서도 알 수 있듯이 "臥"는 침대열차를 말하며, "座"는 좌석열차를 말한다. 그리고 "軟"이 붙은 것이 좀더 부드럽다는 의미를 지닌 것으로 상등석의 의미를 지닌다. 연와는 4인 1실로 밀폐되어 있어서 안전하고 조용하며, 대신 가장 비싼 좌석이다. 경와도 그리 불편하진 않지만, 한 편에 3개의 침대가 있는 6인 1실이며 개방되어 있어 조금 시끄러울 수 있다. 그리고 연좌와 경좌는 각각 1등석, 2등석을 의미하며, 대신 장거리 여행을 하기엔 다소 불편하므로 유의해야 한다.

기차표는 출발 3-4일전에 시내에 있는 중국국제여행사의 사무실이나, 대형호텔내의 여행사에서 약간의 수수료를 지불하고 구입하는 것이 기차역에서 구입하는 것보다 여러모로 안전하고 편리하다.


-----------------------------------------------------------------------------------------

*여권을 잃어버렸을 경우*
가능한 한 빨리 한국대사관이나 영사관에 신고하여 재발급 절차를 밟는다. 재발급에 필요한 서류는 여권번호, 발행한 연월, 여권용 사진2매, 현지 공안국에서 발행한 여권 분실증명서이다. 따라서 여행을 떠나기 전에 여권발행번호와 발행연월일을 미리 수첩에 메모해두거나 여권 맨 앞장을 복사하여, 사진 2매와 함께 여권과는 따로 보관하는 것이 좋다. 여권 재발급에는 보통 1개월 정도가 걸리고, 비용은 인지대로 US$62 정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단기간의 여행자일 경우 여권을 대신할 수 있는 여행증명서를 발급받아 남은 일정의 여행을 마치고 귀국해서 재발급받는 것이 좋다.

*항공권을 잃어 버렸을 경우*
먼저 공안국으로 가서 분실 혹은 도난증명서를 발급받는다. 그리고 항공권을 발급해준 항공사의 현지 지점으로 가서 분실 사유서와 무상대체 항공권 발행의뢰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이때 항공권을 복사해 두었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신고자가 자사 항공사를 이용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까지는 3일에서
1주일 이상이 걸리기 때문이다. 시간이 촉박하다면 항공권을 다시 구입해야 한다. 이때 새로 구입한 항공권의 남은 부분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것은 귀국 후에 분실된 항공권을 발행한 여행사나 항공사에서 환불 신청을 할 때 필요하기 때문이다.

*병에 걸리거나 다쳤을 때*
호텔에 머문 경우라면 프론트에 연락하여 의사를 부르는 것이 가장 좋다. 호텔에 따라서 전속 의사가 있기도 하고, 또 한국어가 통하는 의사를 불러주기도 한다. 그러나 호텔에 투숙하지 않는다면 영어가 통하는 병원으로 가야만 한다. 출발 전에 여행상해보험에 가입해 두었으면 치료비 보상을 받을 수 있다. 국내에서 보험금을 청구하려면 의사진단서, 치료비 명세서, 치료비 영수증 등이 필요하다.

*여행하기 좋은 시기*
중국은 국토가 넓어서 다양한 기후가 나타난다. 남북의 위도차는 약 39℃, 동서의 경도차는 약 60℃에 이른다. 그래서 계절상으로 중국을 여행하기에 가장 알맞은 시기는 봄(5-6월)과 가을(9-10월)이다. 이때에는 중국 어느 지역을 여행하더라도 대체로 날씨가 좋다.